본문 바로가기
심리꿀팁

낙인효과의 유래와 사례

by New 3분정보 2018. 3. 19.
반응형

낙인효과


낙인효과란?


어떤 사람이 나쁜 사람으로 낙인(스티그마)을 찍히면 그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범죄학에서 1960년대 등장한 이론으로, 사회적 규범에서 봤을때 어떤 특정인의 특정 행위가 이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사회구성원들이 도덕적인 이유만으로 특정인의 행위를 나쁜 행위라고 규정해버리고 당사자를 일탈자로 낙인을 찍으면 결국 그 사람은 범죄자가 되어 있을 확률이 큽니다. 


예를 들어  한 어린아이를 보고 주위 사람들이 그 아이를 '바보'라고 낙인을 찍었다고 해 봅시다. 계속 바보 소리를 들은 아이는 갈수록 의기소침해지면서 자신이 진짜 바보인가 생각되어 결국엔 진짜 바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과거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대부분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이후 상황을 부정적으로 몰고 가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시장에서 신뢰를 잃은 기업이 추후에 어떤 발표를 해도 시장에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질때 경제학에서도 '스티그마 효과'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낙인효과


낙인효과 유래


1960년대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도시문제학 교수였던 하워드 베커가 낙인효과를 제창했습니다.


처음 범죄를 저지를 사람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어버리면 결국에는 그 사람 스스로 범죄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고 재범을 저지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낙인효과 사례


1 미국은 냉전 이후 미국의 입장에 동조하지 않는 국가들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그 가운데 이라크, 이란, 북한을 '악의 축'으로 낙인 찍었습니다. 그리고 국제사회에 자국과 뜻을 같이 할 것을 강요했는데, 이런 강요에 따르다 보면 정말 이 국가들이 악마의 나라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2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때 응시자의 미취업 경험만을 근거로 결격사유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미취업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응시자는 구직 활동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고 결국 취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 놓이게 되기도 합니다.


3 저소득 계층에 대한 선별적 무상급식은 이 낙인효과 때문에 찬성입장과 반대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선별적 무상급식을 시행할 경우 저소득 계층에 대한 낙인효과가 생길 위험이 있을수도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4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은 그들이 새로운 삶을 살아갈 의지를 꺾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이런 편견은 결국 그들이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사람으로 낙인을 찍는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입니다.


낙인효과



낙인효과의 반대개념 ☞ 피그말리온 효과